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G G7 씽큐 ThinQ 논란및 문제점

LG G7 ThinQ

2012년 옵티머스 G를 시작으로, 매해 공개된 LG전자의 안드로이드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리즈인 G 시리즈의 2018년도형 모델이자 일곱 번째 모델이다. 여기에 LG전자의 인공지능 브랜드인 ThinQ 시리즈에도 포함된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전작인 G6와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다. 특히, 2017년 이후부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주로 탑재되었던 18:9 비율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것이 아닌 애플의 아이폰 X와 유사한 노치 디자인이 적용된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기본 색상은 뉴 오로라 블랙, 뉴 플래티넘 그레이, 뉴 모로칸 블루, 라즈베리 로즈로 총 4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을 사용한다. Qualcomm Kryo 385 Gold 쿼드코어 CPU와 Qualcomm Kryo 385 Silver 쿼드코어 CPU에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퀄컴 Adreno 630 GPU를 사용한다.

RAM은 LPDDR4X SDRAM 방식이며 4 GB와 6 GB로 나뉘어진다. 내장 메모리는 UFS 2.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4 GB RAM 모델의 내장 메모리는 64 GB 단일 모델이고 6 GB RAM 모델의 내장 메모리는 128 GB 단일 모델이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6.1인치 19.5:9 비율의 3120 x 144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 방식의 FullVision Super Bright Display이다. 16:9 비율인 WQHD 해상도에 비해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로, LG전자는 이를 QHD+라고 명명해서 홍보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으로는 최초로 RGB 서브픽셀 방식이 아닌 흰색 소자도 같이 사용한 M+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HDR 10을 지원하며 디스플레이의 색조 표현력이 크게 향상되어 DCI-P3 색역을 만족한다.

지원 이동통신의 경우, LTE Cat.18·13과 LTE Cat.18·5 모델이 있다. 우선, 업로드 속도는 Cat.13이 150 Mbps, Cat.5가 75 Mbps로 최대 속도가 잡혀있고, 다운로드 속도는 최대 1.2 Gbps로 통일되어 있다. 그리고 VoLTE를 지원한다.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 자체는 LTE Cat.13을 만족하지만 LG전자가 의도적으로 일부 모델은 LTE Cat.5로 제한을 건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000 mAh이다. 또한, 퀄컴 퀵 차지 3.0 규격의 고속충전 솔루션과 퀄컴 퀵 차지 4 규격의 고속충전 솔루션을 지역에 따라 취사선택해 지원하며 자기유도 방식의 표준 규격인 Qi 규격의 무선충전 솔루션 및 Qi 규격의 고속 무선충전 솔루션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소니 엑스모어 IMX351 센서의 1,600만 화소 카메라를 71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기본 카메라로 탑재하고 별도하고 별도로 소니 엑스모어 IMX351 센서의 1,600만 화소 카메라를 107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광각 카메라로 탑재하여 이 둘로 듀얼 렌즈를 구성했다. 그리고 기본 카메라는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하며 추가적으로 LASER AF 센서가 탑재되었다. 또한, 센서 크기는 기본 카메라와 광각 카메라 모두 1/3.09인치이며 조리개 밝기는 기본 카메라가 F/1.6이고 광각 카메라가 F/1.9이다. 전면 카메라는 800만 화소 카메라를 80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또한, 조리개 밝기는 F/1.9이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솔루션이 후면 카메라 모듈 하단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등급은 IP68로, 이는 방진 등급은 최고레벨이지만, 방수 등급은 IPX9K 등급보다 1단계 낮다. 또한,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한다. 다만, 단자 규격의 목표와 달리 USB 2.0 규격이라고 한다.

안드로이드 8.0 오레오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8.0.0이다.




기능

- LG 페이
WMC 솔루션이 기기 후면에 NFC와 같이 중앙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일부 국가 및 지역 출시 기기에 탑재했다고 한다. 또한, Q보이스를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 Always On Display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낮은 밝기로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으며 시계와 알림을 보여준다. 시계 외에 특정 텍스트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위에 관련 센서가 있어서 그 부분을 가리면 Always On Display 기능 활성화 유무와는 상관없이 디스플레이가 꺼진다. 주로 AM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기기들이 AMOLED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면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기능이나, S뷰 커버와 동일한 이유로 TFT-LCD에서도 적용이 되고 있다.



- AI 기능 강화
어시스턴트 기반 및 Q보이스 보조로 구성되었다. 또한, 삼성전자의 빅스비 버튼과 유사하게 기기 측면에 어시스턴트 버튼이 탑재되었으며 SFFVR 기술이 적용되면서 최대 5 m 떨어진 곳에서도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고 주변 소음과 음성 명령을 분리해서 인식할 수 있다고 한다.

- 구글 렌즈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기기 측면의 어시스턴트 버튼을 두 번 연달아 누르는 것으로 실행할 수 있다고 한다. 구글의 픽셀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 이외로는 최초로 공식적으로 지원한다. 이 역시 Q렌즈가 보조 역할로 사용된다.

- Q링크
LG전자가 출시한 가전 기기를 포함한 여러 IoT 전자기기를 통합 관리하는 기능이다. 다만, 가전 기기역시 스마트폰에서 제어받는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특히, 최초 등록 시 복잡한 절차 없이 자동으로 탐색해 등록해준다고 한다.

- 생체인식 잠금해제
생체인식 솔루션을 이용해 기기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별도의 솔루션이 내장된 지문인식을 포함해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얼굴인식 잠금해제 기능을 별도로 탑재했다.

- 사운드 강화
기기 자체가 스피커의 울림통 역할을 하는 붐박스 스피커를 탑재해 스피커의 울림통을 기존보다 약 10배 이상 키웠다고 한다. 이로 인해 저음역대 음량이 6 dB 이상 향상시켜 중저음이 기존 대비 약 2배 이상 풍부해졌다고 한다. 또한, 목재 및 철재 등 다양한 재질의 물체 위에 기기를 올려놓으면 기기와 함께 공명하는 대형 우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으로는 최초로 DTS:X 음향 기술을 탑재했으며 Hi-Fi를 위한 쿼드 DAC 역시 탑재되었다.

- 카메라 강화
후면 카메라 중 기본 카메라 기준으로 카메라 센서 제원을 비롯한 카메라 사양 자체는 전작인 V30 ThinQ & V30S ThinQ과 동일하나,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의 강화된 ISP와 연계해서 HDR 10 촬영을 지원한다.

- 디스플레이 강화

밝기 부스트
활성화 시 최대 3분 동안 1,000 nit의 밝기를 구현한다.



- 뉴 세컨드 스크린
기기 상단의 노치 디자인 좌우의 공간을 세컨드 스크린과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단순히 상태 표시줄로 사용하여 검은색으로 구성하여 단순한 18:9 비율의 디스플레이처럼 사용할 수 있거나 해당 영역까지 디스플레이로 나타내는 콘텐츠를 넓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노치 디자인의 태생적인 호불호 문제로 인해 불호와 관계된 비판 의견을 무마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논란및 문제점

- 2018년 5월 3일 기준,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모바일 AP로 탑재했지만 4K UHD 동영상 촬영은 30 fps까지만 지원한다고 한다. 초반에는 소니 엑스모어 IMX351 센서가 4K UHD 60 fps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었으나, 스펙시트에서 4K UHD 60 fps 동영상 촬영 지원이 확인되면서 부정되었다. 즉, LG전자가 이 같은 조치를 취한 원인이 2018년 5월 7일 기준으로 알 수 없게 되었다. 다만, 정식으로 출시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정식 출시 시 지원 여부가 변경되거나 추후 펌웨어 업데이트 등을 통해 지원될 가능성 역시 존재한다는 의견도 있다.

- 노치 디자인의 태생적인 호불호 문제로 인해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면서 논란이 제기되었다. 긍정적인 의견과 부정적인 의견이 혼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애플의 아이폰 X 등 기존 노치 디자인을 적용한 제조사들의 디자인을 따라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LG전자는 기존에 운영했던 세컨드 스크린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했으며 애플보다 더 이른 시점에 이미 해당 디자인을 기획했다고 밝히고 있으며 긍정적인 측면에서도 이 부분이 수용되고 있다.

기타

- G2부터 도입된 후면 버튼이 G5에서 볼륨 버튼이 측면으로 이동되어 후면에는 전원 버튼만 존재했다가 이번에 전원 버튼도 후면 지문인식솔루션과 분리되어 측면으로 이동하면서 약 5년 만에 후면 버튼을 완전히 벗어나게 되었다.

- 고속충전 솔루션으로 퀵 차지 4 규격을 지원하지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충전기는 퀵 차지 3.0 규격을 지원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