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대출과 조각투자, 수수료와 접근성으로 살펴본 이용자 만족도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경제

P2P 대출과 조각투자, 수수료와 접근성으로 살펴본 이용자 만족도

P2P 대출·조각투자 만족도 2배 하락! 왜?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이 2023 핀테크 이용현황을 조사한 결과, P2P 대출과 조각투자의 인지도에 비해 이용률이 낮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높은 이용자 이탈률의 배경에는 매력적인 금리와 수익률을 제공하지 못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1. 낮은 이용률, 높은 만족도 하락: 수수료와 접근성이 촉발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이 수도권 등에 거주하는 만 20~69세 성인 남녀 2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P2P 대출플랫폼과 조각투자의 '현재 이용 중' 응답은 각각 4.4%, 4.6%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비해 인터넷전문은행과 간편결제는 각각 69%, 78.1%에 달하여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2. 만족도 비교: 인터넷 전문은행 vs. P2P 대출플랫폼

인터넷 전문은행과 간편결제 서비스는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이용자의 만족도는 각각 90.1%, 95.1%로 나타났으며, 특히 간편결제는 매우 일관된 만족도를 보여주었습니다.

3. P2P 대출과 조각투자의 낮은 만족도: 원인과 결과

반면, P2P 대출플랫폼과 조각투자 서비스는 만족도에서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불만족 비율은 각각 64.8%, 67.3%로 나타났으며, 이는 만족하는 비율보다 약 2배나 높은 수준입니다. 이러한 결과는 P2P 대출플랫폼의 높은 이자율과 조각투자의 낮은 접근성으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4. 서비스 개선의 필요성: 금리, 접근성, 신뢰의 중요성 강조

권순채 선임연구원은 "P2P 대출플랫폼과 조각투자는 인지도에 비해 이용률이 낮은데, 이는 이 서비스들이 금융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금리와 수익률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충분한 신뢰를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이용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서비스의 금리 개선과 높은 접근성 확보, 신뢰성 강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보입니다.

 

5. 결론: P2P 대출과 조각투자, 경쟁의 중심에서 밀려난 서비스

2023 핀테크 이용현황 조사는 P2P 대출과 조각투자가 금융 시장에서 경쟁의 중심에서 밀려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만족도 저하의 주요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시기에 도래했으며, 금융 기업들은 이를 참고하여 고객 중심의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