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 동향과 주요 주제: '반도체', '로봇', '2차전지'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경제

국내 증시 동향과 주요 주제: '반도체', '로봇', '2차전지'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2024년, 증시의 두 강자 - 반도체와 로봇

 

 

국내 증시에서 두드러진 테마는 '반(반도체)·로(로봇)·이(2차전지)'였습니다. 이 테마들은 국내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에서 강력한 성과를 거두어,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특히, 이 중에서도 반도체와 로봇은 새해에도 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1. 반도체 산업의 주도와 AI 기술의 부상

반도체 테마에서는 KB스타비메모리반도체액티브와 미래에셋 타이거 Fn 반도체 TOP10이 각각 75.6%, 66.71%의 높은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2024년을 '반도체의 시간'으로 지칭하며, D램 스팟 가격의 반등과 함께 국내 메모리 반도체 기업의 이익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9월부터 현재까지 21.5% 반등한 인공지능(AI) 모멘텀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메모리 반도체 기업의 성과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새로운 AI 스마트폰의 등장과 시장 전망

2023년 1월 17일에 공개된 삼성전자의 첫 'AI 스마트폰'인 '갤럭시 S24'는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로써 생성형 AI 스마트폰 시장은 2027년까지 40%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산업 전반에 걸쳐 AI 기술의 확산을 나타냅니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2024년부터 '온디바이스 AI' 시장이 팽창기에 진입하며 급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3. 로봇 기술의 부상과 시장 전망

로봇 테마에서는 두산로보틱스가 로봇 대장주로 부상하며 석달 새에 공모가 대비 346.5% 상승한 사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로봇 산업은 규제 완화와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자율주행로봇의 보도 통행을 허용하는 지능형로봇법과 로봇·드론의 택배 배송을 가능케 하는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일부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2024년부터 본격적인 배송 로봇의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4. 2차전지 산업의 주춤과 제약·바이오주의 부상

그동안 주목받았던 2차전지 관련주는 올해 주가 급등에 대한 부담과 전기차 수요 둔화 등의 불확실성으로 주춤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제약·바이오주는 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부터 알츠하이머 시장의 성장과 신약 기술이전 계약 등으로 제약·바이오 업종은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3년의 국내 증시 동향을 종합해보면, 반도체와 AI 기술, 로봇, 그리고 제약·바이오주 등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테마들은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주가 상승세가 기대되는 주요 주제로 남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