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워크아웃 발표 - 크레딧 양극화 심화 전망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경제

태영건설 워크아웃 발표 - 크레딧 양극화 심화 전망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NH증권이 전망하는 크레딧 양극화

 
 
오늘 NH투자증권에서 발표된 소식에 따르면 건설업계 16위인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여파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크레딧 양극화가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지난해 12월 28일, 건설사인 태영건설이 시공능력평가 기준 16위로 워크아웃을 신청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달 11일 제1차 금융채권자협의회가 개최되어 주채권은행 KDB산업은행 주도로 기업개선계획 작성과 이행 등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현황과 전망

NH투자증권 연구원 최성종은 다른 건설사 및 금융기관의 펀더멘털 악화 가능성을 현 시점에서는 제한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는 "비용 부담 증가 및 부동산 경기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다른 건설사들은 단기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최 연구원은 "태영건설 관련 은행 및 금융기관의 익스포저는 낮은 수준으로 펀더멘털의 급격한 저하는 제한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충당금 적립 부담과 워크아웃 이후 채무조정 과정에서 수익성 저하 가능성은 있다는 의견을 나타냈습니다.

크레딧 전망

크레딧 신용 스프레드의 급격한 확대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상·하위 등급 간 차별화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최 연구원은 "워크아웃의 정상적인 진행 여부, 다른 PF 사업장 구조조정 과정에서 부실 확산 가능성 등은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언급하며 "국내 크레딧 신용 스프레드는 국고채 금리 하락과 함께 빠르게 축소됐다가 레벨 부담으로 소폭 약세로 전환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결론

전반적으로 크레딧 신용 스프레드의 확대 압력이 높아지는 가운데, 여전채 중 캐피탈사의 신용 스프레드 확대 압력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성종 연구원은 "금융기관 중 상위 등급(은행채, 카드채 등)을 중심으로 접근을 권고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과 시장 참여자들의 신속한 대응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