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가 최근 백선엽 장군의 친일 기록을 삭제한 결정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보훈처 판단과 정 반대의 결정이 되돌아가는 부적절한 선례를 만들었다는 지적과 국민 분열 우려 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가보훈부는 최근 백선엽 장군의 국립묘지 안장 기록에서 '친일반민족행위자'라는 문구를 삭제한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이 결정에 대해 국민들 사이에서 갈등과 논란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박민식 보훈부 장관의 발언과도 충돌이 발생하였습니다. 박민식 장관은 백 장군이 친일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이에 장관직을 걸겠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은 3년 전 보훈처 판단과 정 반대가 되므로서 정권에 따라 친일 여부가 달라지는 부적절한 선례를 만들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보훈부의 설명에 따르면, '친일' 문구를 삭제한 이유는 "법적 근거가 없다"고 합니다. 보훈부는 불순한 의도로 백 장군의 명예를 훼손하려는 시도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적이 아닌 정보를 기재하는 것은 국립묘지 설치 목적과 맞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박민식 장관은 여러 차례 백선엽 장군의 친일 여부를 부인해 왔지만, 이를 반박하는 자료도 존재합니다. 과거 대통령 직속 위원회는 백 장군의 회고록 등을 근거로 그를 '친일' 행위자로 규정한 바 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국민들은 동일한 정부 기관이 서로 다른 결정을 내리는 것에 대한 의구심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똑같은 정부에서도 시기에 따라 다른 판단을 내리면 행정의 연속성이 부정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광복회도 국민 분열을 우려하며 이러한 성급한 판단에 유감을 표하고 있으며, 원상 복구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마무리로, 보훈부 측은 백 장군 이외에도 '친일' 문구가 표기된 나머지 11명에 대해서도 유족의 요청이 있으면 삭제 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