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장질환자에게 치명적인 옥살산

옥살산

Oxalic acid. 수산(蓚酸)이라고도 하나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는 관계 없다. 무수 옥살산은 결정성의 흰 가루 형태이며 카복실산 중에서 카복실기가 2개 있는 가장 간단한 화합물. 보통 질산과 설탕으로 만들 수 있다.


표백제의 주 성분이며, 포도당과 물엿을 만들 때 쓰이기도 한다. 또한 강한 환원제라 녹 제거나 희토류추출용으로도 쓴다.

독성이 있는 물질로(LDLO이 600mg/kg이다), 콩팥에 특히 해로우며 칼슘 이온과 반응해 요로결석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죽순이나 시금치를 생으로 잘못 먹으면 옥살산 중독으로 고생할 수 있으니 주의. 시금치 무칠 때 깨를 넣는 것은 체내에서 옥살산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야채 중 가장 함량이 높은 것은 파슬리로서, 100g당 1.70g의 옥살산이 있어서 100g당 0.97g이 있는 시금치의 1.7배쯤 된다. 야채 내의 옥살산을 제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옥살산이 수용성인 것을 이용, 물에 넣고 데쳐서 옥살산이 빠져나오게 하는 것이다. 물론 데치고 난 뒤에도 찬 물에 헹궈주고, 데친 물은 절대 다른데에 이용하지 말고 버리자.


괭이밥과 식물에 옥살산 칼륨의 형태로 특히 많이 존재하는데 그 때문에 괭이밥과를 Oxalidaceae이라 부르고 카람볼라에도 많이 포함되어있다.

부동액으로 쓰이는 에탄디올이 치명적인 것도 옥살산이 원인이다. 에탄디올이 대사되면 글리콜산이 되고, 이것이 다시 옥살산으로 되기 때문이다. 매년 겨울이면 부동액이 섞인 물로 라면을 끓여먹고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나곤 한다. 만약 누군가가 부동액을 마시고는 중독됐다면 응급처치로는 도수가 높은 술를 먹이고 오른쪽으로 뉘여주자. 우리의 몸은 에탄디올보다 에탄올을 먼저 대사시키기 때문에 옥살산의 생성을 늦출수 있으니 시간을 많이 벌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른쪽으로 뉘어 주는 것은 에탄디올의 흡수를 늦춰주어 2시간 정도의 시간을 벌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