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맛 첵스 사건 "드디어 16년만에 출시"

농심켈로그에서 자사의 시리얼인 첵스초코 홍보를 위해 열었던 첵스초코나라 대통령 선거 이벤트와 이벤트 중 일어난 사건을 말한다. 한국의 온라인 투표 역관광의 대표 사례다.


2004년 12월 경, 농심켈로그에서는 자사의 시리얼인 첵스 홍보를 위해 첵스초코나라 대통령 선거 이벤트를 열었다. 밀크 초코맛을 상징하는 체키(성우 김서영)와, 적당히 악역 캐릭터로 그려놓은 파맛의 "차카"(성우 김소형)를 대결 구도로 만들었다. 켈로그에서는 둘 가운데 더 많은 표를 얻은 쪽의 첵스를 생산한다고 말했다. 누가봐도 무조건 초코를 투표할것이고 대개 파를 싫어하는 어린이의 입맛을 대상으로 한 이 대결은 농심켈로그가 의도한 대로 체키가 이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소비자들에게 선택권을 주는 듯한 시늉을 하는, 투표를 빙자한 홍보에 심기가 불편해진(?) 웃긴대학 유저들이 재미삼아 차카에게 몰표를 넣자고 하면서 반전이 시작되었다. 결국 먹지도 않을 파맛 첵스를 생산시키기 위해 많은 네티즌들이 켈로그 홈페이지에 가서 차카에게 몰표를 던지기 시작하면서 이대로라면 차카가 이기게 될 상황이 되었다. 웃대인 204명이 단합하여 무려 47,339표를 행사했다고 한다.

농심켈로그에서는 자신들의 의도와 다른 상황이 되자 무효표를 걸러낸답시고 정보보안업체까지 동원해 차카에 간 표 가운데 보안상의 허점을 파고들어 행사한 4만 2천여 표를 삭제했고, ARS와 현장 투표를 추가해 "체키가 당선되었습니다."라고 선언해버렸다. 체키에게 간 표도 같은 이유로 일부 삭제되었지만 차카의 표와 비교하면 새 발의 피다.

부정선거 결과인지 아닌지는 논란이 있지만 어쨌든 당선된 체키는 무려 16년 이상 장기 집권 중이며 차카가 민주화운동을 시도할 때마다 아몬드, 딸기, UFO, 요구르트, 마시멜로 등의 외세를 끌어들여 이를 진압하고 있다. 아직도 광고와 포장의 메인 캐릭터로 등장하고 있지만, 후에는 광고에서 꾸준히 차카가 악역으로라도 나오는 것으로 보아서 차카도 인기는 나름 있었던 듯.



파맛 첵스 사건 15주년이 되자 트위터, 디시 등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설렁탕에 파맛 첵스를 넣어먹을 거라며, 파맛 첵스를 다시 언급하거나 팬아트를 그렸다. 트위터에서는 아예 관련 글들이 3, 4천 리트윗을 타며 #PrayForChex라는 해시태그까지 이용하면서 즐기는 등 네티즌들 사이에서 회자되는 재밌는 마케팅 실패의 사례로 자리매김하였다.

어떻게 보면 날아라 슈퍼보드의 OST에서 따왔을 수도 있는데, '치키치키 차카차카 쵸코쵸코쵸'에서 치키를 체키로, 쵸코를 첵스초코로 보면 아주 자연스러워진다.

이 사건이 화제를 몰고 와서 그런지 이후로 국내에선 온라인 투표 마케팅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에쓰오일에서는 이와 비슷하게 좋은 기름을 팔겠다는 차승원 후보와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유재석 후보에게 투표하는 이벤트를 벌였다. 파맛 첵스 사건과 달리 누가 당선되어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 무난한 공약들이라 부정선거 개입 없이 차승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롯데제과 역시 2012년 7월부터 2개월 동안 온라인 투표를 통해 '꼬깔콘'과 '나팔콘' 가운데 이기는 쪽을 상품명으로 다시 정하는 이벤트를 열었다.

사실 이 정도면 실패라고 해도 성공적 실패이자 기업의 의도가 네티즌들의 장난으로 엉뚱한 방향이 된 대표적인 사례로 길이 남은 기념비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의 펩시 해리어 전투기 사건과 달리 법정 싸움으로는 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이야깃거리를 남겼으며, 이에대해 리포트를 쓴 대학생도 있고, 마케팅 관련 과목을 들을 때 빠짐없이 예시로 등장한다. 공공기관 대학생 홍보대사류의 선관위 활동원이 평양 속옷투하와 함께 다루기도 했다.

당시에 파맛 첵스에 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대단하여 동영상 올리기가 일반인에게 버겁던 그 시절에 직접 UCC로 "파맛 첵스를 만들어보았다"라는 영상이 제작되기도 했다. 대파를 첵스 초코 사이즈로 썰어 오리지널 첵스 초코와 함께 대접에 넣은 다음에 우유에 말아 먹고 나서 복통과 설사에 시달려 엔딩에서 모두의 동정을 산 사람도 있었다. 묻히긴 했지만 소수의 네티즌들은 배추에 고추, 기타 등등까지 만들어 김장첵스를 만들자는 제안이 있었다.


그 뒤 2020년 6월 17일, 파맛 첵스의 발매가 예고되었다. 현재 시식단을 모집 중이며, 7월 중 판매 예정으로,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 전반적으로 아주 폭발적인 반응이 주를 이루었다.



유출된 실제 제품 정보로, 전술한 파맛 스낵 이미지를 굳히려는 것으로 보인다. 공식적으로도 부정선거 드립을 써먹는 중이며, 초코 나라의 표현의 자유가 신장되었다는 것 역시 알 수 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선거 포스터에 나온 파맛 첵스와는 확연히 다른 물건이다. 선거 포스터에는 첵스초코에 파를 첨가하는것으로 초코+파의 혼종이나 이번에 나온 물건은 원재료에서 알 수 있듯이 초코 를 완전히 제외하고 대파만을 넣은 제품이다. 

애석하게도 한정판 제품이라서, 큰 인기를 끌지 않는 이상 레귤러 판매 제품군이 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대량생산했다가 몇 개 팔리지 않을 경우 회사에 엄청난 타격이 올 것이기 때문에 회사의 입장이라면 신중할 수밖에 없으므로 시식단을 계속 모집하고 있다. 맛있다는 평가가 많이 나와야 한정판이 아닌 정식판이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정식 상품으로 고착시키려면 소비자들이 많이 사 먹어야만 한다.

물론 팬들에게는 이게 실제로 나온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엄청나게 긍정적인 반응이다. 

파맛 첵스 소개 부분 중간부분을 잘 보면 파맛이 아니라 '피맛' 첵스라고 잘못 적어놓은걸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