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댐은 북한강 최북단 민간인 출입통제선 경계에 위치해 있는 댐. 행정구역상으로는 화천군 화천읍 동촌리에 위치하고 있다.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화천군 화천면 수하리 길이 601m, 높이 125m, 최대저수량 26억 3,000만t으로 대한민국 내의 모든 댐 가운데 3위의 규모이다. 1989년 당시 준공되었으며 2004년, 2012년 2회에 걸쳐 증축되었다.
이 댐이 지어지기 시작한 1986년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에 대한 국민적 열망이 타오르던 때였다. 이 관심을 돌리고자, 북한이 서울 올림픽을 방해하려고 금강산댐[8]을 건설, 무려 200억 톤의 수공을 펼쳐서 서울을 물바다로 만든다라고 과장되게 발표했다. 건설부 장관이 10월 30일 처음으로 발표했는데, 그날은 건국대학교에서 발생한 점거농성이 진압되기 전날이었다.
이 당시 텔레비전에서는 하루 종일 63빌딩이 절반이나 물에 잠기는 것을 비롯해서 서울특별시의 주요 건축물이 물에 잠기는 모형을 보여주었고, 유명한 대학 교수들이 출연하여 그럴싸한 설명까지 덧붙이는 바람에 국민들의 불안감은 극에 달했다.
이로 인해 기업과 국민들에게서 성금을 거의 반강제로 모금할 수 있었던 것은 물론, 국민학생들도 저금통이나 용돈을 털어 평화의 댐 건설에 보태는 일까지 벌어졌다. 심지어 TV 쇼프로그램까지 동원하여 홍보에 앞장서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온 나라가 반공 분위기로 얼어붙는 바람에 줄기차게 개헌을 요구하던 야당과 국민의 여론, 대학생들의 민주화 요구 시위는 크게 위축되었다. 전두환이 이것을 노렸다는 것이 정설로, 전두환의 심복이었던 당시 국가안전기획부장 장세동과 제2차장 이학봉이 주도하여 '시나리오'를 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의 대표적인 실책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외에 이기백 국방부장관도 이 일과 관련이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배재정 의원이 2016년 테러방지법 반대 필리버스터에서 이 사건을 언급하면서 집권여당을 강하게 비판했다.
총 공사비는 1,700억 원이었으며 이 중 639억여 원은 반년 동안 모은 국민 성금으로 충당되었다. 1987년 2월 28일 착공하여 1989년에 1단계가 완공되었다. 그러나 김영삼 정부 시절인 1993년에 들어서야 국정감사를 받으면서 진실이 드러나게 된다. 북한의 금강산 댐의 저수량은 최대 59.4억 톤에 불과하므로 그 위협은 의도적으로 과장된 것이며, 이를 대비하기 위한 평화의 댐의 필요성도 엄청나게 부풀려졌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2003년 댐 완공 뒤에 정보당국이 항공사진으로 판독한 결과 그 절반 수준인 26억 2,000만 톤으로 판명났다. 그러나 사법처리는 없이 유야무야 넘어갔다. 심지어는 사죄 한 마디 없이. 결과적으로 대한민국 국민들은 자신들을 위해 존재한다고 철썩같이 믿었던 정부에 속았다.
게다가 평화의 댐은 이름은 댐이지만 '발전 기능과 홍수 조절 기능이 없는 댐'이라서 비용에 비해 정말 하는 것이 없는 댐이라는 불명예스런 이름도 떠안게 되었다. 아예 평상시에는 물이 없는 건류댐이니 뭐(물론 후술할 내용처럼 '만일을 대비해' 지어진 댐이니 만큼 건류댐인 것이 당연하기는 하다.) 보통 댐이라면 배수량을 인위적으로 조절, 홍수 조절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댐은 비상시 대량방류를 할 수 있는 수문이 따로 없으며 대신 댐 옆에 설치된 여수로 몇 개가 작은 수문의 역할을 할 뿐이다. 그래서 바보댐이란 별명도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