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우는 자연적으로 폐쇄된 환경으로 인해 독을 잃어버린 해파리들 수백마리가 사는 젤리피쉬 호수는 팔라우 최고의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여기를 가려면 배에서 내려서 야트막한 산 언덕을 넘어가야 하므로 신발을 꼭 신자. 최근에 해파리 개체가 많이 줄어들어서 팔라우 정부에서 2년간 출입금지 조치를 취했다가 2019년 현재는 다시 방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아름다운 물색깔을 자랑하는 밀키웨이 등이 관광객들이 꼭 방문하는 곳. 가이드가 바닥에서 산호 모래를 퍼와서 머드팩하라고 건네준다. 블로그 같은데 보면 밀키웨이에서 얼굴에 하얀 산호모래 바르고 헤벌쭉 웃는 관광객들 사진으로 가득하다.
이렇게 주력 산업이 관광 산업으로 바뀌면서 환경 보존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물 밖에다가 무언가를 던진다든가 물고기를 만진다든가 하는 행동들을 매우 싫어한다. 또한 자연 보존을 위해 스노클링 등의 수상스포츠를 즐기려면 미리 관청에 허가증을 받아야 한다. 어디서 하느냐에 따라 그 값도 다른데 대개 5만~13만 원 정도로 고가를 자랑한다. 몰래 즐기다가 걸리는 경우는 30만 원이 넘는 벌금을 물어야 하니 꿈도 꾸지 말자. 해안경비대(Ranger)가 자주 순찰을 돌기에 걸릴 확률도 높다. 스노클링 구역에서 실수로 산호를 파손했다가 경비대에 걸려서 벌금을 무는 경우도 있다. 공항에서 출국할 때 공항세로 인당 100달러를 또 뜯어낸다.
최근 불법으로 팔라우의 영해 및 베타적 경제 수역에서 참치잡이를 하는 중국어선들이 급증하여 최근 크게 문제가 되고 있다. 단순히 참치 뿐 아니라 바다거북과 상어와 같이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 생물들까지 싹쓸이 해버리고 있어 더더욱 문제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팔라우 역시 점점 위기가 오고 있다. 저지대가 침수되면서 농업과 식수 공급에 차질을 겪을 수도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팔라우 정부는 자연 보호 관련 정책에 굉장히 열중하고 있다. 현재 팔라우는 해양/삼림 자원의 효과적인 보전을 목표로 하는 "미크로네시아 도전"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으며 주변 국가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를 호소하고 있다. 2009년에는 세계 최초로 "상어보호구역"을 만들어 상어 어업을 금지했으며 2012년에는 해양 생태계 보존의 리더라는 이유로 세계 미래 협의회로부터 미래정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와 연결되어, 2020년 1월 1일부터 팔라우에서 인공 선크림이 금지된다. 화학합성을 통해 생산되는 선크림에 함유된 옥시벤존(oxybenzone)과 옥티노세이트(octinoxate) 등의 일부 화학물질이 바닷물에 녹아 산호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한다. 적발시 압수조치되며 1,000달러의 벌금까지 물 수 있으므로 혹시 관광객이라면 금지되지 않은 자연 추출물 선크림만 사용하여야 한다. 참고로 이는 세계 최초이며, 1년 뒤인 2021년에는 미국 하와이 주도 똑같은 인공 선크림 금지 지역에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