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당선인의 딸은 2016년부터 미국에서 유학 중이다. 윤미향 딸은 2016년 시카고 일리노이의 대학을 거쳐 2018년부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음대 2년 과정에 재학하면서 피아노 관련 석사 과정을 밟고 있다. 이 딸의 유학비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었다.
2020년 5월 11일 조해진 국회의원 당선인은 윤미향 부부의 연 수입이 5천만 원인데 딸의 미국 유학비는 1억이라며 성금 유용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윤미향 당선인은 1년 동안 전액 장학금을 지원하는 대학을 찾아갔다고 해명했다. 유학생 신분인 윤미향의 딸은 전액 장학금은 물론 장학금 자체를 수령할 수 없는 신분이기 때문에 전액 장학금 관련 윤미향의 해명에 논란이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 대학은 시민권자 영주권자 유학생 신분과 거주지에 따라 등록금과 액수와 장학금 지급 여부가 달라진다. 참고로 UCLA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정보를 확인한 결과 UCLA에서는 외국 학부생 즉 유학생에게는 장학금을 지급하지 않으며 UCLA, 외국 학부생에 장학금 안 준다…, 대학원생의 경우 시각장애인이거나 공학(engineering) 전공인 경우 유학생도 신청가능한 장학금이 있다. 따라서 윤미향의 딸이 시각장애인이라면 장학금 신청요건에 부합하며, 시각장애인이 아니라면 허위로 장학금을 수령하였거나 장학금을 받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다. 미국에 사는 한인들도 UC계열의 대학교는 장학금이 매우 제한적이기에, 장학금을 노린다면 외국학생도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는 사립대를 추천한다고 말했다.
2020년 5월 12일 윤미향은 페이스북을 통해 조선일보 기자가 취재한 방식이 부당하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6개월 동안 조선일보 기자가 UCLA 음대생들을 대상으로 딸이 차를 소유했는지 같은 사생활을 샅샅이 조사했다고 주장하며, 언론의 무차별적 취재와 보도가 조국 사태를 연상케 한다며 간접적으로 조국을 옹호하는 발언을 하였다. 윤미향의 조국 발언에 대해 전여옥은 “여자 조국에 등극했다”며 비난했다.
그 후 남매간첩단 사건 당사자인 남편 김삼석 씨의 형사 보상금, 가족의 손해 배상금 등으로 미국에서 피아노를 공부하는 딸의 유학비와 체류비 등을 마련했다는 취지의 소명 자료를 더불어시민당에 2020년 5월 11일에 제출했다. 당이 공개한 소명 자료에 따르면, 딸은 2018년 가을부터 현재까지 학비와 생활비로 총 8만 5천 달러(약 1억 370만 원)를 사용했는데, 학교에서 장학금을 받아 학비 일부를 충당하고, 한 분기당 학비 및 생활비로 9,351~11,477달러, 기숙사비로 1,418~1,461달러 가량을 지출했다. 김삼석은 1994년 간첩 및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4년·자격정지 4년을 선고받았다. 재심을 청구해 2017년 대법원에서 일부 죄목에 대한 유죄판결이 취소되었으나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인한 유죄 확정판결은 취소되지 않아 징역 2년·집행유예3년·추징금620만원이 선고된 바 있다. 이에 따른 국가배상금이 남편 앞으로 1억 9000만 원, 부인 윤미향과 딸 등 가족 몫으로 8,900만 원이 각각 나왔다는 것이 윤미향 당선인 측 소명 내용이다.
이에 대해 참여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을 지낸 김경율 경제민주주의21 대표는 2020년 5월 12일 페이스북에 “2018년 받은 배상금으로 어떻게 2016년 유학 자금을 마련했냐”고 시기상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그리고 더불어시민당이 제공한 윤미향 당선인이 제시한 딸 유학비 사용 내역에도 유학비 사용 시작이 2018년 9월 14일으로 나와 있다. 즉 2016년부터 2년간 내역을 공개하지 않은 것이다.
2020년 5월 11일 야당이 "미국 1년 유학 학비·생활비로 1억원까지 들어가는데 윤 당선자 남편 1년 수입이 2500만원 정도밖에 안 된다"며 유학비 출처를 밝히라고 요구하자 윤미향은 전술한 대로 남편 김삼석의 국가로부터 받은 형사보상금과 손해배상금으로 충당했다고 해명했다. 또 윤미향은 2020년 4월 초 한 언론 인터뷰에서 "직접 1년 동안 전액 장학금을 주는 대학을 찾아서 갔다"고 했다.
그런데 윤미향은 딸이 UCLA 음대에서 1억원이 넘는 돈을 학비와 체류비로 지출한 사실은 밝히지 않았다. 윤미향 딸이 UCLA 진학 전에 다닌 일리노이 대학 학비 6000달러와 체류비에 대해서도 소명되지 않았다. 미국 교포들 사이에서 UCLA학비로 연간 최소 11만달러(1억 5000만원) 이상이 든다는 증언도 쏟아지고 있다.
기지 회견 이후 윤미향의 딸 학비가 돌아가신 김복동 할머니의 장학금이라는 의혹이 나왔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딸을 '김복동 장학생'으로 지칭했지만, 공식적인 김복동 장학금을 받은 것이 아니라 김복동 할머니가 개인적으로 준 용돈을 딸 대입에 활용했다는 의미다. 정의기억연대(정의연)도 이날 윤 의원과 같은 취지의 해명을 내놨다.
검찰은 유학비 논란에 대하여 범죄혐의가 없다며 불기소 처분하였다.